Memories ; Obersee

(Eng./Kor.)


Written by Juheon Cho




( English version )


1. The place I dwell and the things left behind.
2. Experience and senses : Obersee and the Internet.
3. The Reality and Virtuality : The discontinuity of time built out of experienced moments.
4. The History of Villa Heike and Berlin, the things left behind.
5. The deep colour painting method and 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 Korean Painting.
6. Finishing Word



1. The place I dwell and the things left behind.


We move towards the future, but what makes who I am today is made up of memories from the past and the sensations that are left behind. From a young age I have been moving frequently around with my family. As a consequence, I have left a lot of things behind, and the senses and memories I have are an irreversible experience that created a huge void filled with longing. We cannot bring it back, we cannot go back and cannot see the world with my younger eye; this kind of sadness is deeply placed in our mind, generating emptiness. These feelings and appreciations can be shared by fellow millennials who were born when transportation became more convenient and observe the illusion that the world is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smell of my father’s research laboratory, the smell of the chemicals and books, the softness of the brown wounded leather sofa, and the memory of my fathers posture when getting the green tea out for me from his pale green cabinet. The memory of drawing coral reefs at my father's boring laboratory. Inside of my mother’s studio which always tickled my nose due to the fluff from the wool of her textiles. Listening to the Beatles and music by Yang Hee Eun whilst travelling through the snow covered Misiryeong and Hangyeryeong Pass. Baby Uki’s damp and talc-like smell as he was held by my Grandma. The fresh air when Uki and I jumped around near the river in front of a cabin in Oslo as the sun dazzled on the water. The memory of skipping rope in front of my father as he was cutting the grass in a house in Newcastle.

The smell of trees that wrapped me around as I came out of Laurie Grove Bath studio on my way home at sunset. The sounds and the colours that surrounded me on New Cross Street. The noisy pub where I first met Warren and the loud chattering of people inside. The winter was viciously cold in London that year.

The scenery of early morning at Hayang Station after the blue dawn when I left the house in Apgujeong to catch the train to cross the country. The smell of the taxi to Daegu University. Watching the Muncheonji reservoir in a taxi with a fellow lecturer and the sight of the air shimmering above the water. The bench near the music department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minded me of the steep path on the way to Ewha University’s art building that smelled of fallen magnolias that carpeted the floor. The smell of the grass and the gentle cool breeze that flowed through my hair at Champ de mars in Paris when we listened to our song Eric Clapton’s Layla. The chattering sound of children at Dogok Elementary School when I opened the window after working through the night until the next morning in the Daechi studio. The foggy cool morning air.

Although several decades have passed, the experiences and places that I remember with my senses are clear to me; but they become transcendent entities without a clear trace, and even if I want to grab them, it’s not possible to. The justification for their existence is solely for the longing memories, and the fact that I am alive and breathing.




2. Experience and senses - Obersee and the Internet.


The physical existence of Obersee and the virtual realm of the Internet both have special places in my heart. Shortly after moving to Berlin from Seoul,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cross the globe and during a long one and a half years; we spent most of our time in Obersee and the Internet.

We live on the shores of a small lake in Berlin called Obersee. The lake is impressive for its sensory experiences that offer me with different colours, smells, and swaying movement of each day; all of this makes me feel the change of seasons and that time is passing slowly. The warmth of the neighbours in Obersee made me forget about the less friendly atmosphere in the city and helped me forget that I am a foreigner. This place has given me many things, and Berlin to me is Obersee. I will leave Obersee one day, but no doubt I will long for my experiences here. 

Sometimes images from five or ten years ago pop up on social media and make me face experiential places from the past or peek through someone’s experience or stories; they look like ghosts that are exhausted (L'Epuise) and only have the shadows remain. As these images flash by I am filled with a momentary joy, soon followed by unbearable emptiness and loneliness that is deeper than before. Why am I trying to seek something meaningful from the Internet where time doesn't exist? The senses of the past get blurry everyday, the existence of the floating shadow of the Internet, and the large empty space between them is the starting point of my anxiety and I would like to throw a big question mark towards the reality of digital and Internet experiences. 




3. The Reality and Virtuality - The discontinuity of time built out of experienced moments.


We confirm reality with our senses and make it exist before us. The reality after that experience is of something that it is far away and high up, out of the reach. Hard reality becomes a transcendent being through the intervention of our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and it is exalted to a more infinite and richer existence than the reality. By our perception and experience, this reality is transformed into a multi-layered structure beyond the experience and becomes a fluid and liberal being. As time passes along with the selfless qualitative continuation of consciousness, only the 'ideal' is faintly engraved on the solid frame of reality through the strong yet delicate impression. The fading of this sensual experience, which was clearly anchored somewhere, is a process that proves the experiential existence gradually becomes a being of transcendence as time passes.

On the other hand, the images which are transferred to the internet contain many potentials, but they have a shabby quality that does not always necessarily lead to a true reality, they are mostly just flashes of light. The lines, dots and colours that images and experiences point to, cannot be turned into a real form. The visual forms that exist in the digital space, have eternal potential but they do not have richness, they are purely potential, and those forms are pushed to us through our senses and we are trained to allow them and have them drift, float and wander in us. The reason that the authority of these unreal and uninterrupted potentials is rushing to excess is because we are trainable beings.  These forms on the Internet float as reflections of the real world, and we cannot control our mind. This is because, even if they linger inside, we adapt them at some incomprehensible level without us feeling them as a permanent and distinct threat. However, what I felt while living on the internet during the lockdown period is that the seeds of chaos have already been sown in abundance, and the anxiety that comes from them floating around in us makes us unable to stabilise ourselves. This insecurity made my senses and my existence small and insignificant.

The body of work and the memories for the exhibition is generated from Obersee that have formed from the physical experience of being here as well as the combined experience of the internet. With places being posted on social media repeatedly I was able to examine the physical Obersee and the virtual Obersee, see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my experiences and the experiences of other people. The resulting fragments of memory forcefully summon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experiential sense into reality to be recalled and re-experienced. Obersee's water, grass, wind, sky, trees, light, darkness, sway, and the rustle of its leaves return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endence from a clear and solid reality; disappearing in shape, leaving only color, back to front, flat and swollen, and moving with unnatural electricity. In the three-dimensional painting, the shadow ghosts float around in my memory and bring them all into the real world. It is like Dr. Frankenstein's monster, whose organs have already disappeared and only the body remains.

Reality is a space where the moments of constant changes and movements are infinitely connected, and it is impossible to hold on to the moments because the physical reality goes through changes. The process itself of trying to bring back the infinite changes and transcendentally changing moments into our reality, is my work.

Through the work, I tried to present an index of weighted thoughts and shapes that penetrate me and my entire memory. It’s still frustrating. Is an artwork just a snapshot of a memory and a thought? However, I hope that my snapshots can serve as an anchor for others’ thoughts.





4. The History of Villa Heike and Berlin, the things left behind.


“Hohenschönhausen is one of those areas in Berlin that one rarely traverses these days. Aside from the Berlin-Hohenschönhausen Memorial, a former State Security Political Prison there is a Villa Heike. An abandoned giant three-story Prussian Villa with the scars of east Berlin.

The Prussian Villa Heike and the area surrounding it once belonged to the industrialist Richard Heike - a specialist in Canned-Goods Machinery Production. Heike built up a large industrial site consisting of a Machine Factory (specialising in meat and canned goods), a living and administrative building (the Villa Heike) and a factory storage. Heike lived on the top floor of Villa Heike with his large family, while the rest of the building was used for administrative purposes as well as functioning as a showroom for his machines.

The Soviet Arrival and the liquidation of the Villa Heike
The Soviet soldiers gunned him down on the street in front of the building and liquidated the rest of the building. The Soviets seized the whole area and created the “Speziallager Nr.3”. The camp was under jurisdiction of the  People’s Commissariat for Internal Affairs (NKVD) and served primarily as a collection and transit camp for over 16,000 men, women and young people.

The Stasi and 11 Kilometers worth of Nazi Files
The soviets handed over the area to the GDR in 1951, which continued to operate the facilities and prison. The area, which was also home to the “Operativ-Technische Sektor” – the unit which was responsible for developing all the technical gadgets any spy could need. The Villa Heike soon found itself being used for something even more secretive – it was to become the central storage and research facility of the Stasi for its secret nazi files.

The Reunification and Abandon
With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files moved into the German Federal Archives. With the files moved, the Villa Heike was left abandoned. And that’s how it remained for almost 25 years – until a group of 6 Architects and Investors bought the building in 2015 and decided to renovate it.”

( Seebode, Georg. “Villa Heike.” Digital Cosmonaut, Cosmonaut, 2 Mar. 2018 (digitalcosmonaut.com/2018/villa-heike/))


In this place where time seems to have stopped, I pondered a lot over the two years after seeing the exhibition space about what I could tell and what the story would mean to us and to the viewers of the exhibition.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dig through and think about Berlin's complexity and confusion, which moves through collapse, increased openness, dismantling, and creation through Villa Heike, and the traces left behind with careful consideration. What kind of memory has been left behind in this place whilst the place was running towards the future? What was in it’s past? When people think of Berlin and this Villa Hieke, they think of East Germany. But what memories were there, what did people want, and what traces remain in this space?

After moving to Berlin in 2019, I heard for the first time about the history of Villa Heike building in the program of the Local Art Tour (Lange Nacht der Bilder 2019) held every September in Lichtenberg, where I live, and that I learned this building contained memories of all the modern history of Berlin. People on the tour, including my friend Christoph Duro, said the building was their favorite. It was the winter of that year that I first had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due to being offered the possibility of doing a solo exhibition  here due to an introduction through Museum Lichtenberg im Stadthausdmf. Villa was such a beautiful and antique classical-style building that endured the pain of the Nazi regime, World War II, and division of the country due to the occupation, and seeing this building it made me understand why Berliners think of it as their favourite.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e usually learn about the English, France and Italian history but there was not much emphasis on the modern cultural times of Germany. Not knowing where this style of architecture came from or developed I decided to look into the history of modern Germany and more precisely, Berlin.


  • Attila The Hun’s invasions and the Era of Barbarian migration.
  • The Slavic settlement of Berlin.
  • The Rise of the German Empire, the Holy Roman Empire and the Principality of Saxony.
  • The Thirty Years` War
  • The Rise of Berlin through Friedrich Wilhelm Der Große Kurfürst 17th Century
  • 18th Century Friedrich the 1st - The  declaration of Berlin as the capital of the Prussian Kingdom. During this period, a lot of Baroque and Classical style architecture were constructed, and many of the 'Altbau' that remain in Berlin to this day may have been formalised under its influence.
  • 19th Century occupation by the French (Napoleon’s Army)
  • 1871 German Empire -  Berlin became the German Empire’s capital.
  • Expansionist Policy - South Africa and West Africa (Namibia), East Africa (Tanzania, Rwanda, Burundi), Cameroon, Togo, the South Sea Islands, Northeastern New Guinea and the large and small islands ( Nasa Mark Islands), Samoa, and the Shandong Peninsula of China were colonized.
  • The loss of World War 1 and the collapse of the German Empire.
  • The Weimar Republic and the German Social Democratic Party (SPD)
  • The End of the Weimar Republic and Rise of Adolf Hitler
  • The Nazi government of Germay and World War 2.
  • The 1945-1990 Division of Germany (America, England, France and the Soviet Union / FRG and GDR)


Looking back at the history of Berlin, the construction of Villa Heike started in 1910 and was completed in 1911. So this means that this building was made just before World War 1 and it endured and all the changing winds and blows that were subjected to East Berlin from that time. However, the affection for the building of the people who had been on the tour was not about the dark days, but about the beauty of the previous era in the building itself. Maybe to Eastern Berlin people the building causes them to remember the beautiful memory of the German or Prussian Empire that was hidden behind Villa Heike’s scarred history which I aim to restore.




5. The deep colour painting method and The 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 Korean Painting.


The root of my work will be traditional Korean painting. In more detail, it is a 관념산수 genre that is painted with 진채화 method. Most German people don’t know about Korean painting. I particularly emphasize it as an important element of my work. 

As there are various art trends and movements originating from Europe and Germany, various styles of painting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from ancient times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several centuries. Since the middle ages many cultural movements occurred amongst professional artists who were raised through the Kingdoms institute of artistic study called Dohwawon (during the Corea era of 918-1392).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 great Korean artist originated from the Dohwaso (a follow on from the Dohwaw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any important cultural movements. In particular, the changes in the painting style of landscape paintings ar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movements of the times, and their historical importance is significant. These genres of landscape painting started with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on to canvas, but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it gradually took root as a genre called 관념산수 (觀念 山水) or 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that depicts the landscape as it is viewed from the artist conscious and unconscious mind. In after the early modern period the genre of 관념산수(觀念 山水) has developed alongside korean history, depicting representations of the late, modern and still practiced in current times.


The deep colour painting method
The deep colour painting method (진채화법) is a traditional Korean colour painting method that I learned from teachers during my time at Art middle and high school I learned from contemporary Korean painters who have inherited the tradition. It is a method of adding several layers of paint until the colour develops clearly on the paper. The characteristic of this method is that it can create a matte surface without reflecting light no matter how many times the pigment is applied, and that it can create depth on the screen without expressing the contrast separately.

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관념산수(觀念 山水);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is considered as the way the human beings accept the senses from the outside of their body and was a natural way of transferring the process of the visual forms and memories from our mind to a painting. If surrealism is a trend that has turned its eyes to the deep and large realm of the unconscious hidden beneath the iceberg, then the 관념산수(觀念 山水) is based on ancient times, has gone through various cultural movements to the 10th century, and along with the flow of history. The style of the paintings always introduces us to the possibilities of the world behind the phenomena, dreams and helps us to think about the layers of consciousness.

In many cases, The beginning and end of my work is in that it reconstructs the experiential reality and the things that have become transcendental beings after the sensory experience, and in that way images in different spaces or layers are expressed all at once on one canvas (similar to a collage), some link between the surrealism can be found, but the roots are not the same.




6. Finishing Word


The splendor of the waves, the cold autumn wind interrupting the warm sunlight, and the smell of the swaying lawn; the ambiguous state of these things float around on our minds. The exhibition was born out of the hopefulness of the reality, and the narratives that enforce meaning in our lives.

I would like to say thank you to Bora Lim, Warren Heath, Citron.Inc., Almut Koch and Sirid Amsel of Museum Lichtenberg im Stadthausdmf, Chris McKinsey, Micha, Johan and Robert Kim, Christof Düro, and my Family in Seoul for their continuous support in making this exhibition possible.












( 한국어 )



1. 내가 머무는 곳 그리고 우리 뒤에 남겨지는 것들
2. 경험의 세계 ; 오버시 그리고 인터넷
3. 현실과 가상 ; 체험된 순간들로 구성된 불연속적인 시간
4. 빌라하이크의 역사 그리고 남겨진 기억
5. 진채화 그리고 관념산수 - 한국화
6. 끝내는 말






1. 내가 머무는 곳 그리고 우리 뒤에 남겨지는 것들

우리는 미래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지만 지금의 나를 만드는 것은 우리 뒤에 남겨두고 떠나버린 많은 기억들과 감각들이다. 어렸을 때 부터 현재까지 부모님을 따라 그리고 운명의 끌림을 따라 이 도시 저 도시 이 나라 저 나라 이사를 자주 했다. 덕분에 나는 내 뒤에 많은 것들을 남겨두었고, 이 돌이킬 수 없는 체험으로서의 감각과 기억들은 현재의 나에게 그리움이라는 벙 뚫린 큰 결핍으로 남았다. 다시 돌이킬 수 없다는 것,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곳이 많아진다는 것, 다시 돌아가 조금 더 어린 나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없다는 것, 이런 상실의 슬픔이 참 마음속에 공허하게 자리잡는다. 이런 기분이나 감상은 교통기술의 발달로 이동이 편리해진 후,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로 하루가 다르게 세상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 같지만 현실은 그 반대편으로 치달을 때에 태어나 이를 한껏 누리는 밀레니얼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아빠 연구실의 약품냄새, 책냄새, 퀘퀘한 갈색의 푹꺼진 쇼파의 부드러움, 연초록색 철로된 락카 안에서 현미녹차를 꺼내주던 아빠모습. 어린 나에게는 무료한 아빠 연구실에서 아빠가 준 흑백의 그림책을 보며 따라 그리던 해양식물들, 털실들 때문에 콧구멍이 간질간질했던 엄마의 작업실. 눈보라치던 미시령과 한계령을 넘으며 온가족이 듣던 비틀즈와 양희은 노래. 할미가 안고있는 갓난아기 영욱이의 쿰쿰한 살냄새. 한 여름 오슬로 한 캐빈 앞 찬란하게 해가 비치는 강가에서 영욱이와 뛰어 놀던 그 선선한 공기. 뉴캐슬 집 마당에서 잔디깎는 아빠 옆에서 그 풀냄새 맡으며 탁탁탁 줄넘기 하던 기억.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의 로리글로브 바스 작업실에서 해가 뉘엇뉘엇 할 때 나와 집으로 향하던 나를 감싸줬던 그 가로수 냄새, 뉴크로스 길에서 만나는 친구들, 대화들, 나를 감싸던 색들. 워렌이랑 처음 만난 전시 뒤풀이 했던 시끄러운 펍, 사람들의 대화, 매서웠던 런던 그 겨울의 찬 공기.

푸른 새벽에 압구정집을 나와 기차를 타고 도착한 화양역의 풍경들, 택시냄새, 동료 선생님과 함께 택시 안에서 보는 대구대 앞 문천지의 멋진 아지랑이. 목련이 추적추적하게 떨어진 이대 예술동 가는 오르막길 냄새가 생각나게하던 경북대 음악동 근처 벤치. 파리 샴드마스에서 우리 모여 늘 들었던 에릭클랩튼의 레일라, 그 잔디냄새, 긴 머리카락에 감기는 선선한 바람. 대치동 작업실에서 다음날 아침까지 꼬박 작업하고 창문을 열었을 때 들려오는 도곡 초등학교 아이들의 재잘대는 소리. 안개 낀 서늘한 아침 공기.

몇 십년이 지나도 감각으로 기억하는 그 경험의 장소들은 나에게 실체가 분명한 곳이지만 흔적도 없는 상태로 초월적인 존재가 되어 희끗희끗 해지고 움켜잡고 싶어도 전혀 그럴 수 없지만 그 존재의 당위는 오롯이 그 체험을 향한 그리운 감각과 내가 숨쉬고 살아있다는 것으로부터 확인이 된다.








2. 경험의 세계 - 오버시 그리고 인터넷

현실의 오버시와 가상의 인터넷은 둘 다 나에게 특별한 곳이다. 서울에서 베를린으로 이사 온 후 코비드 19라는 전염병이 온세상에 퍼졌고 긴 록다운 기간동안 우리는 거의 1년 반을 오버시와 인터넷 안에서만 생활했다.

우리는 오버시라는 베를린의 한 작은 호숫가에 산다. 이 호수는 매일 다른 색과 냄새와 일렁임으로 나에게 감각적 체험을 통한 감동을 주고 계절이 변하고 시간이 나긋하게 지나가고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오버시 동네이웃들의 따뜻함은 베를린 사람들의 예의 없음과 불친절함을 잊어버릴 수 있게하고 내가 이방인임을 잊게 만들어주었다. 나는 이 곳에서 많은것을 받았다. 나에게 베를린은 오버시이다. 나는 오버시를 언젠간 떠날것이지만 이 곳에서의 체험은 또한 나에게 큰 그리움으로 남을것이 분명하다.

간혹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은 내 과거속의 체험적 장소들과 마주하게한다, 감각들이 소진 (L'Epuise)되고 그 그림자들만 초라하게 남아있는 10년전 5년전의 이미지들, 혹은 다른사람들의 경험의 흔적들은 마치 유령과 같다. 이것들이 훅! 하고 나를 통과하고 나면 눈이 번쩍 뜨이는 울컥 하는 감동과 함께 그 뒤에는 이전보다도 더 견딜 수 없는 공허함과 쓸쓸함이 밀려온다.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저 인터넷 속에서 나는 왜 그토록 무언가를 확인하려 하는건가. 내 안에서 매일매일 흐려지는 과거의 감각들과 부유하는 인터넷 속의 그림자의 존재, 그리고 그 사이의 커다란 빈 공간은 나에게 불안의 시발점이고 디지털과 인터넷 속 경험의 실재성을 향한 커다란 물음표이다.

그 불안함을 잠재우려면 그 유령이라도 이 곳에 데려다 놔야하는 건가.








3. 현실과 가상 - 체험된 순간들로 구성된 불연속적인 시간

우리는 감각으로 확인하며 실재를 우리 앞에 존재하게한다. 그리고 그 경험된 이후의 실재란 저어 멀리 높고 손에 잡히지도 닿지도 않는 것 이었다. 견고한 현실(hard reality)은 우리의 지각과 의식의 개입으로서 초월적인 존재가 되고 이는 현실보다 더 무한하고 더 풍부한 존재로 고양(高揚)된다. 우리가 지각하고 경험함으로써 이 현실은 경험을 넘어 혹은 그 아래로 깊이 다층적인 구조로 전환되고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존재가 된다. 확고한 현실속의 테두리와 강렬하고 섬세한 인상은 시간이 흐르고 의식의 자기없는 질적 지속이 계속 되면서 그 ‘이상’만 희미하게 각인된다. 분명히 어딘가에 닻을 내렸던 이 감각적 경험이 희미 해져 간다는것은 알량한 시간이 지나면서 이 경험적 존재가 점점 초월의 존재가 되어감을 증명해주는 과정이다.

반면 가상의 인터넷과 디지털로 옮겨져버린 이미지들은 어떠한 잠재성만을 보유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실재성으로 귀결되지는 못하는 초라한 특성을 가진다. 인터넷 속 이미지와 경험들이 가르키는(선정하는) 선과 점과 색들은 형이 되지 못한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동시에 풍부하지는 못한 디지털 속의 형의 존재는 순전히 잠재적이며 그 잠재적인 형상들을 우리는 감각으로부터 이어와서 내 안에서도 부유하도록 쉽게 허락하는 훈련을 받아왔다. 이런 비현실적이고 중단없는 잠재적인 것들의 권위가 과잉으로 치닫는 이유는 우리가 훈련가능한 몸을 지닌 존재이기에 이 인터넷 속 형상(form, 形相) 들이 상징세계 속에서 떠다니고, 내가 제어 할 수 없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 맴돌아도 영원한고도 뚜렷한 위협으로 느끼지 못한 채 어떠한 이해하기 힘든 층위에서 적응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락다운 기간동안 인터넷 속에서 생활하면서 느낀 확실한건 이미 혼돈의 씨앗은 에진작에 흐드러지게 뿌려졌고 그것들이 부유하는데에서 오는 불안함은 우리를 안정할 수 없게 한다는 것이다. 이 불안함은 내 감각과 존재를 초라하게 만들었다.

이번 작업은 그리고 기억은 오버시에서 생성된다. 이 오버시의 기억이란 물리적인 경험과 인터넷 안에서의 경험이 결합된 곳이다. 많은 사람들이 놀러오는 이 장소는 소셜미디어에 반복적으로 개시되었기 때문에 나의 경험적 오버시와 가상의 오버시를 통해 나와 다른 사람들의 경험에서 보여지는 차이점이나 유사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결과물인 이 기억의 조각들은 그 경험적 감각의 다층적 구조를 현실속으로 강제 소환해 재경험하게 한다. 뚜렷하고 견고한 현실로부터 의식의 개입으로 초월의 과정을 거치며 돌아온 오버시의 물, 풀, 바람, 하늘, 나무, 빛, 어둠, 일렁임, 부나낌은 패턴화 되기도하고 흐려지기도 하고, 형체는 사라지고 색채(色)만이 남기도 하고, 앞.뒤.위.아래가 바뀌기도하고, 납작해지고 부풀기도 하고, 괴물처럼 전기로 움직이기도 한다. 기억속 두둥실 떠다니는 그림자 유령들을 바라보고 저것들을 모조리 내가 사는 세상으로 데리고 온 이 입체적 회화는 이미 기관들은 모두 사라져버리고 껍데기의 몸만 남아 돌아온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괴물과 같다.

현실은 끊임 없는 변화와 운동의 순간순간들이 무한하게 이어진 공간이고 이는 견고한 현실이 거치는 변화의 연속 이라서 이 순간을 잡아 놓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 견고한 현실의 무한한 변화와 그리고 초월적으로 변해가는 순간을 다시 견고한 현실로 데리고 오기위해 노력하는 과정 그 자체가 나의 작업이다. 나는 이 작업을 통해 나와 기억 전체를 관통하는 사유의 지표와 입체적 형상을 제시하려 했다. 하지만 여전히 답답하다. 예술작업이란 기억과 사유의 스냅사진에 불과한 것일까? 단, 이 스냅사진이 또 다른 사유의 닻이 될 수 있길 바래 보긴 한다.





 


4. 빌라하이크의 역사 그리고 남겨진 기억

분단 이전
베를린 호헨젠하우젠 기념관 옆에는 소비에트 시절 정치범들을 가두고 심문했던 슈타지 교도소 박물관과 동독의 역사와 흉터가 그대로 남아있는 거대한 4층짜리 프로이센 스타일의 건축물 빌라하이케가 있다. 이 프로이센 스타일의 빌라와 그 주변지역은 한 때 동베를린의 최고의 거부이자 통조림 제품과 그 기계를 생산하는 기업인 리차드 하이케의 소유지였다. 하이케는 이 호헨젠하우젠의 넓은 부지에 육류와 통조림제품을 생산하는 대규모 공장과 노동자들의 생활 및 관리 건물 그리고 창고로 구성된 대규모 산업 부지를 건설했다. 하이케는 빌라 하이케의 꼭대기층에서 그의 대가족과 함께 살았고 건물의 나머지 공간은 본인의 기계들을 전시하는 곳과 공장들을 관리하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소련의 점령 (제 1기 분단정부)
2차 세계대전 이후 동베를린을 소련이 점령하고 소련군은 이 리차드 하이케를 빌라 앞에서 총살하고 건물을 갈취했다. 소련은 이 전체 지역을 점령했고 이 구역을 “Speziallager Nr.3 (제3 특별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지역에는 내무인민위원회 (NKVD) 소속의  정치범 강제노동수용소가 만들어졌고 주로 16000명 이상의 남성, 여성과 청소년들이 수용되어 불결한 횐경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했다.

동독정부 (GDR) 체제 (제 2기 분단정부)
소련(제1기 분단 정부)은 1951년 이 지역을 동독(제 2기 분단 정부)에게 넘겼고 동독정부(GDR)는 이 지역과 시설들을 국가보안부와 감옥으로 사용하였다. 국가보안부 (속칭 ‘슈타지' Stasi)의 역할은 스파이를 육성하고 그들이 필요로하는 모든 기술장비를 개발하는 책임을 맡은 부서이다. 훗날 현재의 독일연방정부는 빌라 하이크 건물이 더욱 비밀스러운 일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게되었는데 나치 정부의 비밀 도청파일들과 당시 동독에 살던 많은 핵심 인물들의 기밀 정보 뿐만아니라 일반 시민들을 도청한 기록, 동독 시절 첨단 무기들의 청사진, 주변국가들을 도청한 기록들이 남아있었다고한다.

통일 이후
동독과 서독의 통일 이후 이 모든 파일들은 독일연방 기록 보관소로 옮겨졌다. 그리고 그 이후로 25년동안 차갑고 무서웠던 시절을 최대한 잊고 싶어 하는 동베를린 사람들의 바람 때문인지 빌라하이케와 이 지역 일대는 2015년까지 철저히 버려졌다가 베를린시, 리히텐버그 문화재청, 동독의 젊은 건축가들에 의해 재정비 되었고 지금은 작가들의 작업실과 미술관으로 사용되고있다. 그리고 베를린시의 주요 문화재로 지정됐다.”

(참조; Seebode, Georg. “Villa Heike.” Digital Cosmonaut, Cosmonaut, 2 Mar. 2018 (digitalcosmonaut.com/2018/villa-heike/))



시간이 멈춰버린 것 같은 이 곳에서 나는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이야기가 우리에게, 전시를 보는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 이 전시장 공간을 본 후 2년의 기간동안 많은 고민을 했다.

빌라하이크를 통해 몰락과 개방, 해체와 생성을 거치며 정신없이 움직이는 베를린의 복잡함과 혼돈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이 곳에 살아오고있는 사람들과 남겨진 흔적들의 입장에 서서 분석하고 사유해 볼 필요가 있다 생각했다. 이 곳은 무엇을 남겨두고 미래를 향해왔던것일까. 이 뒤에는 무엇이 있던것일까. 사람들은 베를린과 이 빌라하이크를 떠올리며 구동독을 떠올린다. 하지만 그 뒤에는 어떤 기억들이 있었으며 사람들을 무엇을 원했고 어떤 흔적들이 이 공간에 남아있는 것일까?

2019년 베를린으로 이사한 후 내가 살고있는 Lichtenberg에서 매년 9월에 개최하는 동네 예술공간 투어 (Lange Nacht der Bilder 2019) 프로그램에서 빌라하이크 건물의 역사에대해 처음으로 들었고 베를린의 근대 (Modern times)는 이 건물을 관통하고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 내 친구 크리스토프 듀로를 포함한 같이 투어를 하던 사람들은 이 건물이 자신의 페이보릿 이라고들 말했다. 건물 내부공간에 들어가 자세히 들여다본 것은 Museum Lichtenberg im Stadthausdmf 을 통해 이 공간에서의 개인전 가능성을 제안 받은 후인 그 해 겨울이었다. 나치정권 시기, 제 2차 세계대전,  분단의 아픔을 견뎌낸 건물이라고 보기에 빌라는 너무 아름답고 고풍스러운 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이었고 왜 베를린 사람들이 이 건물을 좋아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것도 같았다. 하지만 한국 교육시스템에서는 보통 영국이나 프랑스, 이탈리아의 역사와는 달리 독일의 근세나 근대에 대해서 유의미한 문화적 강조를 하지 않아 나는 베를린의 이런 고전주의 장식과 형식의 건축물이 어디에서 어떠한 역사를 통해 들어와 자리 매김 한 건지 알지 못했고 나는 독일 그리고 더 정확히는 베를린의 역사에대해 좀 살펴보기로 했다. 

  • 375년 아틸라의 훈족 대이동과 게르만족의 대이동
  • 슬라브족 정착
  • 10세기-12세기 : 독일왕국, 신성로마제국, 작센공국
  • 근세 - 30년 전쟁
  •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大)재 (Friedrich Wilhelm Der Große Kurfürst)  - 상.공업. 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한 신흥도시 베를린
  • 18세기 프리드리히 1세 (Friedrich I) - 프로이센 왕국을 선포하고 베를린은 이 때부터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로서 자리매김했다.
  • 19세기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
  • 1871년 프로이센 왕국을 주축으로 한 독일 제국이 세워지면서 비로소 베를린은 독일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시기에 바로크와 고전주의 양식의 건축양식과 도시경관이 만들어졌고 베를린에 현재까지 남아있는 많은 ‘Altbau’들은 이 시기에 만들어졌거나 그 영향아래 형식화 되었겠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건축물을 프로이센 스타일 건축물이라고 하고 빌라하이케도 포함된다.
  • 팽창주의 정책 - 남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나미비아), 동아프리카(탄자니아·르완다·부룬디), 카메룬, 토고, 남양 군도, 뉴기니 북동부 및 부근의 크고 작은 섬들(나사 마크 제도), 사모아, 중국의 산둥 반도 등을 식민화 했다.
  • 1918년 제 1차 세계대전의 패전으로 독일 제국 (Deutsches Kaiserreich)은 무너짐
  • 베르사유의 조약 -  식민지를 영구 상실하게 되었고 막대한 군비 축소, 프랑스에 일부 지역을 반환
  • 바이마르 공화국 - 사회민주당 (SPD)
  • 나치정당과 제 2차 세계대전
  • 1945년 부터 1990년 (45년)
    • 분단 1기: 미국, 영국, 프랑스 / 소련
    • 분단 2기: 서독 (FRG) / 동독 (GDR)
  • 1990년 - 통일



이렇게 역사를 되짚어보면 빌라하이크는 1910년에 시작해서 그 다음해인 1911년에 완공되었으니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직전에 지어졌고, 그 이후 동베를린이 겪은 모든 풍파를 가장 앞에서 다 감수 해야 했을 것이다. 하지만 투어를 함께했던 사람들의 건물에대한 애정은 그 어두웠던 시절에대한 이야기로 향하기 보다 건물 자체에서 풍기는 바로크 풍의 프로이센 건축의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었다. 빌라하이케 건물은 동베를린 사람들이 보존하고 기억하고 싶어하는 프로이센이나 독일제국의 모습에대한 갈망 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내가 다시 현실로 데려오고 싶은  빌라하이케의 으시시한 역사 뒤에 남겨졌던 혹은 가려져 있었던 그립고 아름다운 과거의 베를린에대한 기억일 것이다.








5. 진채화 그리고 관념산수 - 한국화

대부분의 나의 작업의 근간은 전통 한국화일 것이다. 더 자세히는 전통 진채화를 통해 실현한 관념산수일 것이다. 대부분의 독일사람들은 한국화를 모른다. 어떤 갤러리 관장에게서 ‘한국은 원래 미술이 없었는데 최근에 케이팝으로 장사를 잘 하고있는 것 같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내가 바보가 되어야하는지 이 사람이 바보인건지 헷갈려서 잠시 멈칫 했던 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정규 교육 과정 속에서 한국, 중국, 동아시아, 중동,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의 예술의 역사에대해 배우지만 독일 혹은 베를린에서는 다양한 문화의 예술에대해 가르치지는 않는 모양이다. 한국에서 전시를 했다면 미술인이 아닌 사람에게라도 특별히 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되었겠지만 이 곳에서는 이게 이제서야 중요한 담론거리가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작업노트의 한 꼭지로 특별히 강조한다.

유럽과 독일로부터 비롯된 여러 미술사조와 운동들이 있겠듯이 한국에서는 고대 그리고 삼국시대로부터 여러세기를 거쳐 다양한 화풍이 발달되어왔고 근세에는 절파와 종파를 근간으로 한 화법이 도화원(圖畫院) 이라는 기관을 기반으로 연구되어왔고 조선시대와 근대에는 도화서(圖畫署)를 중심으로 다수의 중요한 화원들이 배출되었고 다양한 화법들이 유행을 했다. 특히 산수화의 화풍 변화가 시대의 흐름에따라 분명하게 구분되어서 그 사료적 중요성도 상당하다. 물론 이 산수화 라는 장르는 자연경관을 그대로 화폭에 담는데에서 시작했으나 근세에 이르러서는 점차 화가의 머리속에 담겨있는 풍경을 그리는 관념산수(觀念 山水) 라는 장르로 뿌리를 내렸다. (이 이후로도 산수화 장르는 조선 중.후기, 근대, 현재 한국의 시대상황을 대변하며 변화했고 이 것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런던이나 베를린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내 작업을 통해 초현실주의를 말하기도 하고 질들뢰즈, 가타리, 베르그손, 프루스트, 보드리야르를 이야기 하기도, 브리짓 라일리를 말하기도, Aram Bartholl 에대해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나 또한 같은 현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일원으로 그 사조나 작가들과의 접점이 매우 큰 관심사이기도 하고 영향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내 작업의 근간을 물어본다면 초현실주의나 자연의 패턴화나 인터넷 시대, 시간과 공간에대한 유물론적인 고찰에대한 설명 이전에 전통 한국화의 진채화법이나 관념산수에대해 설명하고 싶다. 한국이나 동아시아사람들이 내 작업을 본다면 모두 이런 단어들을 떠올리겠지만 놀랍고 아쉽게도 아직 이 곳 유럽에서는 유럽기반의 예술 이외 70%를 차지하는 다른 세상의 예술의 존재나 그 역사가 굉장히 새로운 것일 수 있다.

진채화법이란 내가 중 고등학교 대학교때, 전통을 이어온 현대 한국화 작가들인 스승들에게서 배워온 한국 전통 채색화법인데 보통 닥나무로 만들어진 흡수력이 매우 높은 한지 위에 아교 포수를 해 코팅을 한 후 안료와 아교를 섞은 물감으로 색을 원하는 만큼 진하고 선명하게 발색 될때까지 여러겹 덧칠해서 올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큰 특성은 아무리 여러번 안료를 올려도 빛을 반사하지 않고 매트한 표면을 만들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명암을 따로 표현하지 않아도 화면에 깊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20세기 초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으로부터 이어진 초현실주의는 1차세계대전 이후 기존의 전통과 질서에 대한 파괴의 운동이었던 반면 한국화에서의 관념산수는 어떠한 형국에대한 저항과 비판이기보다 인간이 외부로부터의 감각을 받아들이고 사유하는 과정을 평면으로 옮겨오는 자연스러운 방식이었다. 초현실주의가 빙산에 아래에 가려져있는 깊고 커다란 무의식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눈을 돌렸던 사조라고 한다면 한국화의 관념산수는 고대를 토대로 10세기 부터 여러 절파와 종파를 거치며 역사의 흐름과 함께 늘 우리에게 현상 이면의 세계의 가능성, 꿈과 무의식의 세계에대한 가능성을 소개하고 의식의 층위에대한 고민을 했던 흔적이라 하겠다.

초현실주의의 공간은 많은 경우, 상상이 현실이 되는 가능성의 공간이며 현실의 그림자이자 거울과 같은 비현실의 공간이다. 내 작업의 시작과 끝은 경험적인 실재와 그 감각적 경험 이후 초월적인 존재가 되어버린 것들을 재구성한다는 점, 그리고 서로 다른 공간이나 층위에 있던 이미지들을 한 화폭에 한꺼번에 표현한다는 점에서 (콜라주와 비슷하다) 둘사이의 어떠한 고리를 발견 할 수 있겠지만 그 역사적 뿌리가 같은 것은 결코 아니다.








6. 끝내는 말

그 물결의 찬란함과 따뜻한 햇빛에 부서지는 찬 가을 바람 일렁이는 잔디밭의 냄새 이런것들은 선명하지도 아예 아련하지도 않은 애매한 상태에서 우리 마음속에 어떤 층위에서 둥둥 떠다닌다. 이들을 향한 그리움에대한 공상 (空想: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실현될 가망이 없는것을 막연히 그리어 봄. 또는 그런 생각)과  사의 (辭意;글이나 말로 이야기되는 뜻)가 이번 전시를 만들었다.
이 전시가 있기위해 도움을 주신 임보라, Warren Heath, Museum Lichtenberg im Stadthausdmf 의 Almut Koch, Sirid Amsel,  Chris McKinsey, Micha, Johan, Robert Kim, Christof Düro 그리고 서울에 있는 내 가족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싶다.







Copyright © JUHEON CHO, 2012- , All Rights Reserved

All files and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Website or Blog are copyright by JUHEON CHO, and may not be duplicated, copied, modified or adapted, in any way without our written permission. Our Website or Blog may contain our service marks or trademarks as well as those of our affiliates or other companies, in the form of words, graphics, and logos. Your use of our Website, Blog or Services does not constitute any right or license for you to use our service marks or trademarks, without the prior written permission of JUHEON CHO. Our Content, as found within our Website, Blog and Services, is protected under EU and foreign copyrights. The copying, redistribution, use or publication by you of any such Content, is strictly prohibited. Your use of our Website and Services does not grant you any ownership rights to our Content.

조주현 曺周賢 JUHEON CHO









︎ INDIVIDUAL PROJECTS



A work towards incomplete
2023++


@project.dear.diary
2022++


Diorama ; my reality
2017.2018.2021.2022++


Sculptral Painting
2019.2020.2021++


Disaster Game
2017.2018++


Colour mining
2017.2018.2019.2020++


Dazzling memories..
2019.2020++


Dazzling plastic things..
2009.2010.2011.2012++
 

Empty of meaning
2018++


Never fear or worry
2018++


Psychedelic nature-invisible fear
2016++


26m Panorama disaster painting
2016.2017.2018.2019++


MMD-022
2016++


Disaster painting
2016.2017.2018++


Filling dots 
2016.2017.2018++


One plus fan zone🎉
2017.2018++


Irradiated Rock
2018.2019++


PROPAGANDA scroll
2015.2016++


Show room
2016.2017++


Wall paper series
2016.2017++













︎ SOLO EXHIBITIONS


@project.dear.diary
2023
Sixth solo show
Wrocław


Memories ; Obersee
2019.2020.2021.2022
Fifth solo show
Berlin


Flat digital
2018
Fourth solo show
Seoul


A Spectacle Fever; Media between real and digital
2017
Third solo show
Seoul


Tamed by spectacle - the opaqueness of image
2016
Second solo show
London



The little boy and a toxic land
2015
First solo show
London















︎ Info


Mark